새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변경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조적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개발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처음 수행한 변경을 테스트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한 후
최종적으로 프로덕션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그림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환경 간의 변경사항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를
보여줍니다.
그림 1. 데이터베이스 환경 간의 변경사항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
이 변경 마이그레이션 태스크를 수행하려면 사용자는 두 데이터베이스 환경의 차이점을 판별하고
서로 다른 오브젝트만을 변경해야 합니다. 일부 경우 새 테이블이 추가되는 경우에만
차이점을 쉽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테이블을 자주 변경하고
테이블이 추가 또는 삭제되며 기본 또는 외부 키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차이점을 판별하는 것이 상당히 복잡할 수 있습니다.
마이그레이션할 구조적인 변경의 소스는
DDL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제 데이터 모델의 소스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소스에서 변경을 마이그레이션하려면
데이터베이스 환경 간의 변경 마이그레이션과
동일한 단계와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변경 플랜은 변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변경을 마이그레이션하려면 주메뉴에서
오브젝트 비교 및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를 시작합니다. 마법사는
다음 단계를 안내합니다.
- 마이그레이션할 구조적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변경의 소스 선택
- 마스크를 지정하고 비교에 포함된 항목을 단순화하도록 무시
- 구조적인 비교 테이블을 사용하여
변경 소스 및 대상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차이점을 검토하고
대상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할 차이점을 복사
적용할 차이점을 선택 및 복사했으면
변경 플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경 플랜의 변경을 검토하고, 변경할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변경 플랜에 변경을 추가한 후
변경 플랜의 변경을 대상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합니다.
변경 플랜을 검토 및 배치한 경우
검토 및 배치 대화 상자가 열리고
사용자 정의 가능한 생성된 명령이 표시됩니다.
검토 및 배치 대화 상자의 기능을 사용하여
다음 태스크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저장 여부를 지정하고 삭제 후 다시 작성해야 하는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로드 및 다시 로드
- 언로드된 열의 데이터를 다시 로드할 컬럼의 데이터에 맵핑하는 방법 변경
- 변경 플랜에 포함할 DB2®
유지보수 명령의 서브세트 선택
- 실행 취소 명령을 작성할지 여부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