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 데이터를 언로드한 후
다시 데이터 오브젝트로 로드해야 합니다. 변경 명령에 특정의 DB2® 유지보수 명령을
포함시키면 패키지가 리바인드되고, 통계가 업데이트되며 데이터가 재구성되므로 유용합니다.
데이터 보존은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IBM® Data
Studio에서
파괴적 변경이 발생했음을 발견하면(즉, 오브젝트를 삭제한 후 재작성해야 함을 의미)
데이터는 언로드된 후 새로 작성된 오브젝트에 다시 로드됩니다.
또한 DB2 유지보수 명령의 서브세트도
필요한 경우 기본적으로 생성된 변경 명령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본 옵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저장
다음 상황에서는 데이터 보존이 유용합니다.
- 오류가 있는 변경을 수행할 때
- 테이블을 삭제한 후 다시 작성하여 변경해야 하는 경우
데이터를 언로드한 후 새로 작성된 테이블에 로드해야 합니다.
- 테이블을 삭제할 때
- 차후 사용을 위해 삭제된 테이블의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해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변경을 실행 취소하고 데이터를 복원해야 할 수 있습니다.
- 테이블을 작성할 때
-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로 테이블을 채우고자 합니다.
마이그레이션 주메뉴 항목 아래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조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테이블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 한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로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할 때
- 소스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언로드한 후 대상 테이블의 데이터로 로드해야 합니다.
마이그레이션 주메뉴 항목 아래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조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언로드 및 다시 로드 명령 메소드
IBM Data
Studio는 내보내기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언로드하고
가져오기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로드합니다.
내보내기 유틸리티는 IXF 파일 형식을 사용하지만,
예외적으로 데이터 파티셔닝 환경에서는 DEF 파일 형식을 대신 사용합니다.
트리거가 있는 테이블로 데이터를 다시 로드하는 경우
트리거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로드 유틸리티는 트리거와 연관된 비즈니스 규칙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DB2 유지보수 명령
변경사항을 적용하면 특정 데이터베이스 패키지가 작동되지 않고 통계가 부정확해 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삭제하면 DB2는 패키지를 유효하지 않거나 작동 불가능으로 표시합니다. 가장 최근의
통계에 따라 패키지를 다시 작성하려면 리바인드 명령을 실행해야 합니다.
다음 명령은 기본적으로 생성된 명령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필요한 경우 포함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 RUNSTATS 명령
-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되거나 데이터가 테이블에 로드된 후에는 통계를 다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REORG 명령
- 테이블이 변경되면 모든 인덱스를 재구성해야 합니다. 테이블스페이스가 변경된 경우에도
모든 테이블 및 인덱스를 재구성해야 합니다. 또한 재구성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모두 리바인드해야
합니다.
- REBIND 명령
- 변경 명령에 다음 DROP문이 포함된 경우 패키지를 리바인드해야 합니다.
- TABLE
- TRIGGER
- MQT
- UDF
- VIEW
- ALIAS
- INDEX
- STRUCTURE TYPE
여러번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패키지를 리바인드하여 성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IBM Data
Studio는
변경 플랜에 정의한 변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 패키지에 대해 리바인드 명령을 생성합니다.
- FLUSH CACHE PACKAGE문
- 통계가 업데이트되면 동적 SQL문에서 업데이트된 통계를 사용하도록 패키지 캐시를 비우십시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 성능이 향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