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설명페이지 맨 위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구현은 디렉토리에 구성된 소스 코드 파일, 2진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 구현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하위 레벨 요소 외에도 종종 상위 레벨 관리 단위, 구현 서브시스템, 해당 그룹 구현 요소 및 기타 구현 서브시스템을 작성해야 합니다.

구현 모델은 종속성 및 기타 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구현 서브시스템을 주로 모델링합니다. 이 모델은 전개 가능한 파일 또는 디렉토리 구조와 같은 구현 서브시스템의 핵심 요소를 모델링할 수도 있습니다.

텍스트 설명이 첨부된 다이어그램.

구현 모델에서 표기법. 화살표는 가능한 소유권을 표시합니다.

선택사항으로 구현 모델의 최상위 레벨(루트)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구현 서브시스템>>으로 스테레오타입화된 패키지는 구현 요소(파일 및 디렉토리) 및 기타 구현 서브시스템을 그룹화합니다.

예:

뱅킹 시스템의 경우 구현 서브시스템은 구현 모델의 최상위 레벨 노드에서 단조로운 구조로 구성됩니다. 구현 모델에서 서브시스템을 보는 다른 방법은 계층적으로 보는 것입니다(가이드라인: 가져오기 종속성 참조).

텍스트 설명이 첨부된 다이어그램.

소유권 계층 구조를 표시하는 뱅킹 시스템의 구현 모델.

구현 모델은 구현 서브시스템의 계층 구조에 관하여 구현의 기본 구조를 정의할 뿐만 아니라 구현 서브시스템 간 가져오기 종속성, 구현 요소 간 컴파일 종속성 및 구현 모델과 설계 모델 요소 간 종속성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사용 페이지 맨 위

구현 모델은 구현 서브시스템 및 구현 요소에 관하여 소프트웨어 실제 조직의 관심사항에 중심을 둡니다. 단일 모델에서 실제 구현 및 논리 설계 모두를 설명하는 단일 모델을 선택사항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스 코드 파일을 결합된 구현/설계 모델과 동기화하는 라운드 트립 엔지니어링 접근 방법에서 공통적입니다.

구현 서브시스템의 조직은 이 두 모델 사이를 맵핑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설계 모델과 다소 밀접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에 특정한 설계 가이드라인에서 캡처되어야 하는 프로세스 결정사항입니다. 맵핑이 정확하면 즉, 각 구현 서브시스템도 설계 서브시스템이면 단일 설계 서브시스템에 중심을 둔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설계 및 구현 모두를 요약할 수 있습니다.

구현 모델을 구조화하는 방법, 그리고 설계와 구현 모델 사이를 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개념: 코드에 설계 맵핑, 활동: 구현 모델 구조화가이드라인: 구현 요소를 참조하십시오.



Rational Unified Process   200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