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배움터
kowikiversity
https://ko.wikiversity.org/wiki/%EC%9C%84%ED%82%A4%EB%B0%B0%EC%9B%80%ED%84%B0:%EB%8C%80%EB%AC%B8
MediaWiki 1.39.0-wmf.21
first-letter
미디어
특수
토론
사용자
사용자토론
위키배움터
위키배움터토론
파일
파일토론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토론
틀
틀토론
도움말
도움말토론
분류
분류토론
포털
포털토론
TimedText
TimedText talk
모듈
모듈토론
소도구
소도구토론
소도구정의
소도구정의토론
위키배움터:사랑방
4
3506
34781
34775
2022-07-26T15:02:12Z
Revibot I
1938
봇: 문단 1개(60일 보다 오래됨)를 [[위키배움터:사랑방/보존문서7]]에 보존합니다
wikitext
text/x-wiki
{{사랑방 안내문}}
{{사용자:Revibot/Archive
|archive = 위키배움터:사랑방/보존문서%(counter)d
|algo = old(60d)
|counter = 7
|maxarchivesize = 150k
|archiveheader = {{보존}}
|minthreadstoarchive = 1
}}
== Universal Code of Conduct News – Issue 1 ==
<section begin="ucoc-newsletter"/>
<div style = "line-height: 1.2">
<span style="font-size:200%;">'''보편적 행동 강령 소식지'''</span><br>
<span style="font-size:120%; color:#404040;">'''제 1호, 2021년 6월'''</span><span style="font-size:120%; float:right;">[[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뉴스레터 전문 읽기''']]</span>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보편적 행동 강령]]의 첫번째 소식지를 찾아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소식지들은 위키미디언들이 새롭게 도입되는 보편적 행동 강령의 현재 상황에 대해서 알려주고, 관련된 소식과, 조사 결과, 그리고 보편적 행동 강령과 관련된 이벤트들이 기제됩니다.
이것은 첫번째 보편적 행동 강령의 소식지로, 보편적 행동 강령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알리기 위해서 모든 프로젝트와 구독자들에게 배포되었습니다. 다음 소식지를 사용자 토론, 사랑방, 혹은 특정한 토론 페이지에 구독되기를 원하신다면, [[m:Special:MyLanguage/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UCoC Newsletter Subscription|여기를 눌러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소식지를 귀하의 언어로 번역해 행동 강령에 대한 소식을 전달하고 행동 강령에 대해서 공동체가 주목할 수 있도록 해 공동체를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수 있습니다. 초안을 배포하기 이전에 번역하는 일을 도와주실 수 있다면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Participate|여기 사용자명을 남겨주세요]].
</div><div style="margin-top:3px; padding:10px 10px 10px 20px; background:#fffff; border:2px solid #808080; border-radius:4px; font-size:100%;">
* '''가맹 단체 조사''' – 2021년 3월과 4월, 다양한 규모, 유형 및 경험을 가지고 있는 위키미디어 가맹 단체들은 보편적 행동 강령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초대되었습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1|계속 읽기]])
* '''2021 주요 질문 조사''' – 위키미디어 재단은 2021년 4월과 5월에 보편적 행동 강령의 시행 방안에 대한 주요 질문에 대해 다양한 위키미디어 공동체로부터 의견을 구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2|계속 읽기]])
* '''원탁 토론''' – UCoC팀은 2021년 5월에 두번의 원탁 토론을 진행해 주요 질문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더 많은 세션이 추후 진행될 예정입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3|계속 읽어보기]])
* '''2단계 초안위원회''' – 보편적 행동 강령의 2단계 초안위원회는 2021년 5월 12일에 그들의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업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세요.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4|계속 읽기]])
* '''Diff 블로그 포스트''' – 보편적 행동 강령 조사자들은 2021년 1분기에 진행되었던 현지 언어 상담 기간 동안 각 커뮤니티의 흥미로운 발견이나 배워나갈 점을 바탕으로 여러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5|계속 읽기]])</div><section end="ucoc-newsletter"/>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Oyeyele_(WMF)/Announcements/Korea&oldid=21570521의 목록을 사용해 User:SOyeyele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보편적 행동 강령 시행 지침 검토는 여전히 여러분들의 의견을 필요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 메세지는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Enforcement draft guidelines review|보편적 행동 강령의 시행 지침에 대한 검토]]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고자 합니다. 초안위원회는 초안에 대한 수정 및 개선 절차를 '''2주보다 적은 시간 (10월 17일)'''에 시작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귀하의 의견과 제안을 제시해 주세요.
이제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Enforcement draft guidelines review/Abstract|당신의 검토를 더 쉽게 하기 위해 여기에 지침 초안의 짧고 간단한 버전]]이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짧은 버전을 더 많은 언어로 번역하는 것도 도와주세요!
또한 우리는 마지막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2021_consultations/Roundtable_discussions|대화 시간]]을 2021년 10월 15일 03:00 UTC 와 14:00 UTC에 진행합니다.
[[m:Universal_Code_of_Conduct/Drafting_committee#Phase_2|초안위원회]]를 대표해 지금까지 아이디어를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더 많은 의견을 들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더 많은 의견이 포함되면 지침이 훨씬 더 강력해질 것입니다.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1897384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 – 제5호 ==
<section begin="ucoc-newsletter"/>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Global message|{{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Global message}}&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div style = "line-height: 1.2">
<span style="font-size:200%;">'''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span><br>
<span style="font-size:120%; color:#404040;">'''제5호, 2022년 1월'''</span><span style="font-size:120%; float:right;">[[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뉴스레터 전문 읽기''']]</span>
----
다섯번째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소식지 (구. 보편적 행동 강령 뉴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단장한 소식지는 운동 헌장, 보편적 행동 강령, 운동 전략 실행 보조금, 이사회 선거 및 기타 관련된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에 관한 소식과 행사를 알려드립니다.
이 소식지는 분기별로 배포되며 더 빈번한 업데이트는 구독자에게 매주 또는 격주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업데이트를 수신하려면 [[:m:Special:MyLanguage/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MSG Newsletter Subscription|여기]]에서 구독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div><div style="margin-top:3px; padding:10px 10px 10px 20px; background:#fffff; border:2px solid #808080; border-radius:4px; font-size:100%;">
*'''이사회 선거에 대한 의견 요청''' - 다가오는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에 대한 피드백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이 의견 요청은 2022년 1월 10일에 시작되었으며 2022년 2월 7일에 종료됩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Call for Feedback about the Board elections|계속 읽기]])
*'''보편적 행동 강령의 비준''' - 2021년에 위키미디어 재단은 커뮤니티에 보편적 행동 강령 정책을 시행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시행 지침의 수정된 초안은 3월에 커뮤니티 투표를 위해 준비될 예정입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Universal Code of Conduct Ratification|계속 읽기]])
*'''운동 전략 실행 보조금''' - 몇 가지 흥미로운 제안들을 계속 검토하면서, 우리는 운동 전략 권고안의 특정 이니셔티브를 목표로 하는 더 많은 제안들과 아이디어들을 장려하고 환영하고 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Movement Strategy Implementation Grants|계속 읽기]])
*'''뉴스레터의 새로운 방향''' - UCoC 소식지가 MSG 소식지로 전환됨에 따라 진행 팀에 참여하여 이 뉴스레터의 새로운 방향을 구상하고 결정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The New Direction for the Newsletter|계속 읽기]])
*'''Diff 블로그''' - 위키미디어 Diff 블로그에서 MSG에 대한 최신 간행물을 확인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Diff Blogs|계속 읽기]])</div><section end="ucoc-newsletter"/>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1897384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ubscribe to the This Month in Education newsletter - learn from others and share your stories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Dear community members,
Greetings from the EWOC Newsletter team and the education team at Wikimedia Foundation. We are very excited to share that we on tenth years of Education Newsletter ([[m:Education/News|This Month in Education]]) invite you to join us by [[m: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This Month in Education|subscribing to the newsletter on your talk page]] or by [[m:Education/News/Newsroom|sharing your activities in the upcoming newsletters]]. The Wikimedia Education newsletter is a monthly newsletter that collects articles written by community members using Wikimedia projects in education around the world, and it is published by the EWOC Newsletter team in collaboration with the Education team. These stories can bring you new ideas to try, valuable insights about the success and challenges of our community members in running education programs in their context.
If your affiliate/language project is developing its own education initiatives, please remember to take advantage of this newsletter to publish your stories with the wider movement that shares your passion for education. You can submit newsletter articles in your own language or submit bilingual articles for the education newsletter. For the month of January the deadline to submit articles is on the 20th January. We look forward to reading your stories.
Older versions of this newsletter can be found in the [[outreach:Education/Newsletter/Archives|complete archive]].
More information about the newsletter can be found at [[m:Education/News/Publication Guidelines|Education/Newsletter/About]].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ontact spatnaik{{@}}wikimedia.org.
------
<div style="text-align: center;"><div style="margin-top:10px; font-size:90%; padding-left:5px; font-family:Georgia, Palatino, Palatino Linotype, Times, Times New Roman, serif;">[[m:Education/Newsletter/About|About ''This Month in Education'']] · [[m: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This Month in Education|Subscribe/Unsubscribe]] · [[m:MassMessage|Global message delivery]] · For the team: [[User:ZI Jony|<span style="color:#8B0000">'''ZI Jony'''</span>]] [[User talk:ZI Jony|<sup><span style="color:Green"><i>(Talk)</i></span></sup>]], {{<includeonly>subst:</includeonly>#time:l G:i, d F Y|}} (UTC)</div></div>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ZI_Jony/MassMessage/Awareness_of_Education_Newsletter/List_of_Village_Pumps&oldid=21244129의 목록을 사용해 User:ZI Jony@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리더십 개발 태스크 포스: 여러분의 의견을 원합니다.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Call for Feedback Announcement|이 메시지는 메타위키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된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Call for Feedback Announcement|{{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Call for Feedback Announcement}}&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위키미디어 재단의 커뮤니티 개발 팀은 커뮤니티 중심의 글로벌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의 조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태스크포스의 목적은 리더쉽 개발 작업을 조언하는 것입니다.
팀은 리더십 개발 태스크포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피드백을 찾고 있습니다. 이 메타 페이지는 [[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리더십 개발 태스크포스]]에 대한 제안과 [[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Participate|당신이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제안에 대한 피드백은 2022년 2월 7일부터 25일까지 남겨주실 수 있습니다.<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1897384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 – 제6호 ==
<section begin="ucoc-newsletter"/>
<div style = "line-height: 1.2">
<span style="font-size:200%;">'''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span><br>
<span style="font-size:120%; color:#404040;">'''제 6호, 2022년 4월'''</span><span style="font-size:120%; float:right;">[[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뉴스레터 전문 읽기''']]</span>
----
다섯번째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소식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단장한 소식지는 운동 헌장, 보편적 행동 강령, 운동 전략 실행 보조금, 이사회 선거 및 기타 관련된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에 관한 소식과 행사를 알려드립니다.
이 뉴스레터는 분기별로 배포되며 더 자주 업데이트되는 내용도 매주 배포됩니다. 이 뉴스레터의 향후 호를 수신하려면 [[m:Special:MyLanguage/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MSG Newsletter Subscription|여기]]에서 구독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div><div style="margin-top:3px; padding:10px 10px 10px 20px; background:#fffff; border:2px solid #808080; border-radius:4px; font-size:100%;">
*'''리더십 개발 -''' 워킹 그룹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 리더십 개발 워킹 그룹 가입 신청은 2022년 4월 10일 마감되며, 워킹 그룹에 참여할 커뮤니티 구성원은 최대 12명입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1|계속 읽기]])
*'''보편적 행동 강령 비준 결과가 나왔습니다! -''' SecurePoll을 통한 UCoC 시행에 대한 글로벌 결정 프로세스가 3월 7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최소 128개의 프로젝트에서 2,300명이 넘는 유권자가 자신의 의견을 제출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2|계속 읽기]])
*'''허브의 운동 토론 -''' 지역 및 주제별 허브에 대한 글로벌 대화 이벤트는 3월 12일 토요일에 열렸으며 운동 전반에 걸쳐 84명의 다양한 위키미디어인들이 참석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3|계속 읽기]])
*'''운동 전략 보조금은 계속 열려 있습니다! -''' 연초부터 총 가치가 약 $80,000 USD인 6건의 제안이 승인되었습니다. 운동 전략 프로젝트 아이디어가 있습니까? 우리에게 연락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4|계속 읽기]])
*'''운동 헌장 초안 작성 위원회가 준비되었습니다! -''' 2021년 10월에 선출된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업무의 본질적 가치와 방법에 대해 합의하고 운동헌장 초안의 개요를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5|계속 읽기]])
*'''주간 운동 전략 소개 -'''기부 및 구독! - MSG 팀은 메타 위키의 다양한 운동 전략 페이지에 연결된 업데이트 포털을 막 시작했습니다. 구독자는 진행 중인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최신 뉴스를 받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6|계속 읽기]])
*'''Diff 블로그 -''' 위키미디어 Diff에서 운동 전략에 대한 최신 간행물을 확인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7|계속 읽기]])
</div><section end="ucoc-newsletter"/>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한국어 위키미디어 공동체 여러분,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여러분,
아쉬운 소식이지만, 팀내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언어별에서 지역별 체재로 전환됨에 따라, 추가 연장 없이 계약 종료를 결정하여.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촉진자로서의 업무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제 마지막 업무일은 6월 30일입니다.
2021년 1월부터 시작한 저의 활동을 통해 보편적 행동 강령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운동 전략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소통하고 협업하는 일을 수행했으며, 저의 업무를 통해서 재단이 한국어 공동체가 더 가까워 졌기를 바랍니다. 한국어 공동체에 운동 전략의 이니셔티브를 더 자세히 이해하고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적극적으로 여러분들의 의견을 공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한국어 촉진자의 업무가 종료됨에 따라 7월 1일부터는 [[User:VChang (WMF)|Vivien Chang]]이 한국어 커뮤니티를 포함한 ESEAP (동아시아 및 태평양) 공동체를 관할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협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User:YKo (WMF)|고영진]] 올림
2022년 6월 28일 (화) 02:1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Upcoming activiti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Upcoming Activities|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Upcoming Activities|{{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Upcoming Activitie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Hi all,
This message covers two upcoming activiti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The Board of Trustees election will have an Election Compass to support voters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Eligible voters can propose statements in July and vote on which statements are used in the Election Compass in late July. Please visit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ommunity Voting/Election Compass|Election Compass page]] for more information.
Join conversations with the 2022 Board of Trustees candidates July 27 to August 7. Each candidate will have a one hour conversation with the community. Each conversation will be recorded and made available for future viewing. Live interpretation will be available. Languages available will be announced when the dates are set. These conversations will be scheduled with the candidates once the results of the Affiliate Selection are available. That information will be shared on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Events|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campaign events]] page.
Best,
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 on behalf of the Board Selection Task Force and the Elections Committee<br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User:RamzyM (WMF)|RamzyM (WMF)]] 2022년 7월 11일 (월) 10:20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 ''<div class="plainlinks">[[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Hi everyone,
I'm Vivien from the 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 team. My apologies for posting this in English; If any of you would be so kind to help translate the message to Korean, we would really appreciate it!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concerns, please do not hesitate to reach out to us.
I'm writing to inform you the Affiliate voting process has concluded. Representatives from each Affiliate organization learned about the candidates by reading candidates’ statements, reviewing candidates’ answers to questions, and considering the candidates’ ratings provided by the Analysis Committee. The selected 2022 Board of Trustees candidates are:
* Tobechukwu Precious Friday ([[m:User:Tochiprecious|Tochiprecious]])
* Farah Jack Mustaklem ([[m:User:Fjmustak|Fjmustak]])
* Shani Evenstein Sigalov ([[m:User:Esh77|Esh77]])
* Kunal Mehta ([[User:Legoktm|Legoktm]])
* Michał Buczyński ([[m:User:Aegis Maelstrom|Aegis Maelstrom]])
* Mike Peel ([[m:User:Mike Peel|Mike Peel]])
You may see more information about the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Results|Results]] and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Stats|Statistics]] of this Board election.
'''The next part of the Board election process is the community voting period.'''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Timeline|You may view the Board election timeline here]]. To prepare for the community voting period, there are several things community members can engage with in the following ways: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andidates|Read candidates’ statements]] and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2/Affiliate_Organization_Participation/Candidate_Questions|read the candidates’ answers to the questions posed by the Affiliate Representatives]].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2/Community_Voting/Questions_for_Candidates|Propose and select the 6 questions for candidates to answer during their video Q&A]].
* See the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andidates|Analysis Committee’s ratings of candidates on each candidate’s statement]].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ommunity Voting/Election Compass|Propose statements for the Election Compass]] voters can use to find which candidates best fit their principles.
* Encourage others in your community to take part in the election.
Thank you,
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 [[사용자:VChang (WMF)|VChang (WMF)]] ([[사용자토론:VChang (WMF)|토론]]) 2022년 7월 21일 (목) 01:52 (KST)
''This message was sent on behalf of the Board Selection Task Force and the Elections Committee''<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njjejb7nqwpy1bxa52h1r8nj1mhbgca
34782
34781
2022-07-26T18:03:36Z
MediaWiki message delivery
584
/* Vote for Election Compass Statements */ 새 문단
wikitext
text/x-wiki
{{사랑방 안내문}}
{{사용자:Revibot/Archive
|archive = 위키배움터:사랑방/보존문서%(counter)d
|algo = old(60d)
|counter = 7
|maxarchivesize = 150k
|archiveheader = {{보존}}
|minthreadstoarchive = 1
}}
== Universal Code of Conduct News – Issue 1 ==
<section begin="ucoc-newsletter"/>
<div style = "line-height: 1.2">
<span style="font-size:200%;">'''보편적 행동 강령 소식지'''</span><br>
<span style="font-size:120%; color:#404040;">'''제 1호, 2021년 6월'''</span><span style="font-size:120%; float:right;">[[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뉴스레터 전문 읽기''']]</span>
----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보편적 행동 강령]]의 첫번째 소식지를 찾아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이 소식지들은 위키미디언들이 새롭게 도입되는 보편적 행동 강령의 현재 상황에 대해서 알려주고, 관련된 소식과, 조사 결과, 그리고 보편적 행동 강령과 관련된 이벤트들이 기제됩니다.
이것은 첫번째 보편적 행동 강령의 소식지로, 보편적 행동 강령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알리기 위해서 모든 프로젝트와 구독자들에게 배포되었습니다. 다음 소식지를 사용자 토론, 사랑방, 혹은 특정한 토론 페이지에 구독되기를 원하신다면, [[m:Special:MyLanguage/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UCoC Newsletter Subscription|여기를 눌러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소식지를 귀하의 언어로 번역해 행동 강령에 대한 소식을 전달하고 행동 강령에 대해서 공동체가 주목할 수 있도록 해 공동체를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수 있습니다. 초안을 배포하기 이전에 번역하는 일을 도와주실 수 있다면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Participate|여기 사용자명을 남겨주세요]].
</div><div style="margin-top:3px; padding:10px 10px 10px 20px; background:#fffff; border:2px solid #808080; border-radius:4px; font-size:100%;">
* '''가맹 단체 조사''' – 2021년 3월과 4월, 다양한 규모, 유형 및 경험을 가지고 있는 위키미디어 가맹 단체들은 보편적 행동 강령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초대되었습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1|계속 읽기]])
* '''2021 주요 질문 조사''' – 위키미디어 재단은 2021년 4월과 5월에 보편적 행동 강령의 시행 방안에 대한 주요 질문에 대해 다양한 위키미디어 공동체로부터 의견을 구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2|계속 읽기]])
* '''원탁 토론''' – UCoC팀은 2021년 5월에 두번의 원탁 토론을 진행해 주요 질문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더 많은 세션이 추후 진행될 예정입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3|계속 읽어보기]])
* '''2단계 초안위원회''' – 보편적 행동 강령의 2단계 초안위원회는 2021년 5월 12일에 그들의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업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세요.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4|계속 읽기]])
* '''Diff 블로그 포스트''' – 보편적 행동 강령 조사자들은 2021년 1분기에 진행되었던 현지 언어 상담 기간 동안 각 커뮤니티의 흥미로운 발견이나 배워나갈 점을 바탕으로 여러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Newsletter/1#sec5|계속 읽기]])</div><section end="ucoc-newsletter"/>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SOyeyele_(WMF)/Announcements/Korea&oldid=21570521의 목록을 사용해 User:SOyeyele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보편적 행동 강령 시행 지침 검토는 여전히 여러분들의 의견을 필요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 메세지는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Enforcement draft guidelines review|보편적 행동 강령의 시행 지침에 대한 검토]]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고자 합니다. 초안위원회는 초안에 대한 수정 및 개선 절차를 '''2주보다 적은 시간 (10월 17일)'''에 시작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귀하의 의견과 제안을 제시해 주세요.
이제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Enforcement draft guidelines review/Abstract|당신의 검토를 더 쉽게 하기 위해 여기에 지침 초안의 짧고 간단한 버전]]이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짧은 버전을 더 많은 언어로 번역하는 것도 도와주세요!
또한 우리는 마지막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2021_consultations/Roundtable_discussions|대화 시간]]을 2021년 10월 15일 03:00 UTC 와 14:00 UTC에 진행합니다.
[[m:Universal_Code_of_Conduct/Drafting_committee#Phase_2|초안위원회]]를 대표해 지금까지 아이디어를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더 많은 의견을 들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더 많은 의견이 포함되면 지침이 훨씬 더 강력해질 것입니다.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1897384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 – 제5호 ==
<section begin="ucoc-newsletter"/>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Global message|{{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Global message}}&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div style = "line-height: 1.2">
<span style="font-size:200%;">'''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span><br>
<span style="font-size:120%; color:#404040;">'''제5호, 2022년 1월'''</span><span style="font-size:120%; float:right;">[[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뉴스레터 전문 읽기''']]</span>
----
다섯번째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소식지 (구. 보편적 행동 강령 뉴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단장한 소식지는 운동 헌장, 보편적 행동 강령, 운동 전략 실행 보조금, 이사회 선거 및 기타 관련된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에 관한 소식과 행사를 알려드립니다.
이 소식지는 분기별로 배포되며 더 빈번한 업데이트는 구독자에게 매주 또는 격주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업데이트를 수신하려면 [[:m:Special:MyLanguage/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MSG Newsletter Subscription|여기]]에서 구독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div><div style="margin-top:3px; padding:10px 10px 10px 20px; background:#fffff; border:2px solid #808080; border-radius:4px; font-size:100%;">
*'''이사회 선거에 대한 의견 요청''' - 다가오는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에 대한 피드백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이 의견 요청은 2022년 1월 10일에 시작되었으며 2022년 2월 7일에 종료됩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Call for Feedback about the Board elections|계속 읽기]])
*'''보편적 행동 강령의 비준''' - 2021년에 위키미디어 재단은 커뮤니티에 보편적 행동 강령 정책을 시행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시행 지침의 수정된 초안은 3월에 커뮤니티 투표를 위해 준비될 예정입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Universal Code of Conduct Ratification|계속 읽기]])
*'''운동 전략 실행 보조금''' - 몇 가지 흥미로운 제안들을 계속 검토하면서, 우리는 운동 전략 권고안의 특정 이니셔티브를 목표로 하는 더 많은 제안들과 아이디어들을 장려하고 환영하고 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Movement Strategy Implementation Grants|계속 읽기]])
*'''뉴스레터의 새로운 방향''' - UCoC 소식지가 MSG 소식지로 전환됨에 따라 진행 팀에 참여하여 이 뉴스레터의 새로운 방향을 구상하고 결정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The New Direction for the Newsletter|계속 읽기]])
*'''Diff 블로그''' - 위키미디어 Diff 블로그에서 MSG에 대한 최신 간행물을 확인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5#Diff Blogs|계속 읽기]])</div><section end="ucoc-newsletter"/>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1897384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ubscribe to the This Month in Education newsletter - learn from others and share your stories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Dear community members,
Greetings from the EWOC Newsletter team and the education team at Wikimedia Foundation. We are very excited to share that we on tenth years of Education Newsletter ([[m:Education/News|This Month in Education]]) invite you to join us by [[m: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This Month in Education|subscribing to the newsletter on your talk page]] or by [[m:Education/News/Newsroom|sharing your activities in the upcoming newsletters]]. The Wikimedia Education newsletter is a monthly newsletter that collects articles written by community members using Wikimedia projects in education around the world, and it is published by the EWOC Newsletter team in collaboration with the Education team. These stories can bring you new ideas to try, valuable insights about the success and challenges of our community members in running education programs in their context.
If your affiliate/language project is developing its own education initiatives, please remember to take advantage of this newsletter to publish your stories with the wider movement that shares your passion for education. You can submit newsletter articles in your own language or submit bilingual articles for the education newsletter. For the month of January the deadline to submit articles is on the 20th January. We look forward to reading your stories.
Older versions of this newsletter can be found in the [[outreach:Education/Newsletter/Archives|complete archive]].
More information about the newsletter can be found at [[m:Education/News/Publication Guidelines|Education/Newsletter/About]].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ontact spatnaik{{@}}wikimedia.org.
------
<div style="text-align: center;"><div style="margin-top:10px; font-size:90%; padding-left:5px; font-family:Georgia, Palatino, Palatino Linotype, Times, Times New Roman, serif;">[[m:Education/Newsletter/About|About ''This Month in Education'']] · [[m: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This Month in Education|Subscribe/Unsubscribe]] · [[m:MassMessage|Global message delivery]] · For the team: [[User:ZI Jony|<span style="color:#8B0000">'''ZI Jony'''</span>]] [[User talk:ZI Jony|<sup><span style="color:Green"><i>(Talk)</i></span></sup>]], {{<includeonly>subst:</includeonly>#time:l G:i, d F Y|}} (UTC)</div></div>
</div>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ZI_Jony/MassMessage/Awareness_of_Education_Newsletter/List_of_Village_Pumps&oldid=21244129의 목록을 사용해 User:ZI Jony@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리더십 개발 태스크 포스: 여러분의 의견을 원합니다.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Call for Feedback Announcement|이 메시지는 메타위키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된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Call for Feedback Announcement|{{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Call for Feedback Announcement}}&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위키미디어 재단의 커뮤니티 개발 팀은 커뮤니티 중심의 글로벌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의 조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태스크포스의 목적은 리더쉽 개발 작업을 조언하는 것입니다.
팀은 리더십 개발 태스크포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피드백을 찾고 있습니다. 이 메타 페이지는 [[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리더십 개발 태스크포스]]에 대한 제안과 [[m:Special:MyLanguage/Leadership Development Task Force/Participate|당신이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제안에 대한 피드백은 2022년 2월 7일부터 25일까지 남겨주실 수 있습니다.<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1897384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 – 제6호 ==
<section begin="ucoc-newsletter"/>
<div style = "line-height: 1.2">
<span style="font-size:200%;">'''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뉴스'''</span><br>
<span style="font-size:120%; color:#404040;">'''제 6호, 2022년 4월'''</span><span style="font-size:120%; float:right;">[[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뉴스레터 전문 읽기''']]</span>
----
다섯번째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소식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단장한 소식지는 운동 헌장, 보편적 행동 강령, 운동 전략 실행 보조금, 이사회 선거 및 기타 관련된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에 관한 소식과 행사를 알려드립니다.
이 뉴스레터는 분기별로 배포되며 더 자주 업데이트되는 내용도 매주 배포됩니다. 이 뉴스레터의 향후 호를 수신하려면 [[m:Special:MyLanguage/Global message delivery/Targets/MSG Newsletter Subscription|여기]]에서 구독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div><div style="margin-top:3px; padding:10px 10px 10px 20px; background:#fffff; border:2px solid #808080; border-radius:4px; font-size:100%;">
*'''리더십 개발 -''' 워킹 그룹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 리더십 개발 워킹 그룹 가입 신청은 2022년 4월 10일 마감되며, 워킹 그룹에 참여할 커뮤니티 구성원은 최대 12명입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1|계속 읽기]])
*'''보편적 행동 강령 비준 결과가 나왔습니다! -''' SecurePoll을 통한 UCoC 시행에 대한 글로벌 결정 프로세스가 3월 7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최소 128개의 프로젝트에서 2,300명이 넘는 유권자가 자신의 의견을 제출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2|계속 읽기]])
*'''허브의 운동 토론 -''' 지역 및 주제별 허브에 대한 글로벌 대화 이벤트는 3월 12일 토요일에 열렸으며 운동 전반에 걸쳐 84명의 다양한 위키미디어인들이 참석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3|계속 읽기]])
*'''운동 전략 보조금은 계속 열려 있습니다! -''' 연초부터 총 가치가 약 $80,000 USD인 6건의 제안이 승인되었습니다. 운동 전략 프로젝트 아이디어가 있습니까? 우리에게 연락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4|계속 읽기]])
*'''운동 헌장 초안 작성 위원회가 준비되었습니다! -''' 2021년 10월에 선출된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업무의 본질적 가치와 방법에 대해 합의하고 운동헌장 초안의 개요를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5|계속 읽기]])
*'''주간 운동 전략 소개 -'''기부 및 구독! - MSG 팀은 메타 위키의 다양한 운동 전략 페이지에 연결된 업데이트 포털을 막 시작했습니다. 구독자는 진행 중인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최신 뉴스를 받습니다.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6|계속 읽기]])
*'''Diff 블로그 -''' 위키미디어 Diff에서 운동 전략에 대한 최신 간행물을 확인하세요.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Newsletter/6#A7|계속 읽기]])
</div><section end="ucoc-newsletter"/>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한국어 위키미디어 공동체 여러분,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여러분,
아쉬운 소식이지만, 팀내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언어별에서 지역별 체재로 전환됨에 따라, 추가 연장 없이 계약 종료를 결정하여.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촉진자로서의 업무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제 마지막 업무일은 6월 30일입니다.
2021년 1월부터 시작한 저의 활동을 통해 보편적 행동 강령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운동 전략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소통하고 협업하는 일을 수행했으며, 저의 업무를 통해서 재단이 한국어 공동체가 더 가까워 졌기를 바랍니다. 한국어 공동체에 운동 전략의 이니셔티브를 더 자세히 이해하고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적극적으로 여러분들의 의견을 공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한국어 촉진자의 업무가 종료됨에 따라 7월 1일부터는 [[User:VChang (WMF)|Vivien Chang]]이 한국어 커뮤니티를 포함한 ESEAP (동아시아 및 태평양) 공동체를 관할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협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User:YKo (WMF)|고영진]] 올림
2022년 6월 28일 (화) 02:19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Upcoming activiti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span>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Upcoming Activities|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Upcoming Activities|{{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Upcoming Activitie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Hi all,
This message covers two upcoming activiti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The Board of Trustees election will have an Election Compass to support voters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Eligible voters can propose statements in July and vote on which statements are used in the Election Compass in late July. Please visit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ommunity Voting/Election Compass|Election Compass page]] for more information.
Join conversations with the 2022 Board of Trustees candidates July 27 to August 7. Each candidate will have a one hour conversation with the community. Each conversation will be recorded and made available for future viewing. Live interpretation will be available. Languages available will be announced when the dates are set. These conversations will be scheduled with the candidates once the results of the Affiliate Selection are available. That information will be shared on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Events|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campaign events]] page.
Best,
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 on behalf of the Board Selection Task Force and the Elections Committee<br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User:RamzyM (WMF)|RamzyM (WMF)]] 2022년 7월 11일 (월) 10:20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RamzyM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 ''<div class="plainlinks">[[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Announcing the six candidates for the 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Hi everyone,
I'm Vivien from the 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 team. My apologies for posting this in English; If any of you would be so kind to help translate the message to Korean, we would really appreciate it!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concerns, please do not hesitate to reach out to us.
I'm writing to inform you the Affiliate voting process has concluded. Representatives from each Affiliate organization learned about the candidates by reading candidates’ statements, reviewing candidates’ answers to questions, and considering the candidates’ ratings provided by the Analysis Committee. The selected 2022 Board of Trustees candidates are:
* Tobechukwu Precious Friday ([[m:User:Tochiprecious|Tochiprecious]])
* Farah Jack Mustaklem ([[m:User:Fjmustak|Fjmustak]])
* Shani Evenstein Sigalov ([[m:User:Esh77|Esh77]])
* Kunal Mehta ([[User:Legoktm|Legoktm]])
* Michał Buczyński ([[m:User:Aegis Maelstrom|Aegis Maelstrom]])
* Mike Peel ([[m:User:Mike Peel|Mike Peel]])
You may see more information about the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Results|Results]] and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Stats|Statistics]] of this Board election.
'''The next part of the Board election process is the community voting period.'''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Timeline|You may view the Board election timeline here]]. To prepare for the community voting period, there are several things community members can engage with in the following ways: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andidates|Read candidates’ statements]] and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2/Affiliate_Organization_Participation/Candidate_Questions|read the candidates’ answers to the questions posed by the Affiliate Representatives]].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2/Community_Voting/Questions_for_Candidates|Propose and select the 6 questions for candidates to answer during their video Q&A]].
* See the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andidates|Analysis Committee’s ratings of candidates on each candidate’s statement]].
* [[metawiki: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Community Voting/Election Compass|Propose statements for the Election Compass]] voters can use to find which candidates best fit their principles.
* Encourage others in your community to take part in the election.
Thank you,
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 [[사용자:VChang (WMF)|VChang (WMF)]] ([[사용자토론:VChang (WMF)|토론]]) 2022년 7월 21일 (목) 01:52 (KST)
''This message was sent on behalf of the Board Selection Task Force and the Elections Committee''<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 Vote for Election Compass Statements ==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Vote for Election Compass Statements|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Vote for Election Compass Statements|{{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Announcement/Vote for Election Compass Statement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Hi all,
Volunteers in the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elections/2022|2022 Board of Trustees election]] are invited to [[m:Special:MyLanguage/Wikimedia_Foundation_elections/2022/Community_Voting/Election_Compass/Statements|vote for statements to use in the Election Compass]]. You can vote for the statements you would like to see included in the Election Compass on Meta-wiki.
An Election Compass is a tool to help voters select the candidates that best align with their beliefs and views. The community members will propose statements for the candidates to answer using a Lickert scale (agree/neutral/disagree). The candidates’ answers to the statements will be loaded into the Election Compass tool. Voters will use the tool by entering in their answer to the statements (agree/disagree/neutral). The results will show the candidates that best align with the voter’s beliefs and views.
Here is the timeline for the Election Compass:
*<s>July 8 - 20: Volunteers propose statements for the Election Compass</s>
*<s>July 21 - 22: Elections Committee reviews statements for clarity and removes off-topic statements</s>
*July 23 - August 1: Volunteers vote on the statements
*August 2 - 4: Elections Committee selects the top 15 statements
*August 5 - 12: candidates align themselves with the statements
*August 15: The Election Compass opens for voters to use to help guide their voting decision
The Elections Committee will select the top 15 statements at the beginning of August
Best,
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
''This message was sent on behalf of the Board Selection Task Force and the Elections Committee''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
</div>
[[User:VChang (WMF)|VChang (WMF)]] 2022년 7월 27일 (수) 03:03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VChang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aqyhn1cy8jl4tf4804vx5gy3f60oezo
위키배움터:사랑방/보존문서7
4
4704
34780
34772
2022-07-26T15:02:02Z
Revibot I
1938
봇: [[위키배움터:사랑방]]에서 문단 1개를 보존합니다
wikitext
text/x-wiki
{{보존}}
== 뉴스 2022 #1 편집하기 ==
<section begin="message"/><i>[[metawiki:VisualEditor/Newsletter/2022/April|다른 언어로 읽어보세요]] • [[m:VisualEditor/Newsletter|이 다국어 뉴스레터 구독 목록]]</i>
[[File:Junior Contributor New Topic Tool Completion Rate.png|thumb|새로운 편집자는 이 새로운 도구로 더 성공적이었습니다.]]
[[mw:Special:MyLanguage/Help:DiscussionTools#New discussion tool|새 주제 도구]]는 편집자가 토론 페이지에 새로운 ==섹션==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새로운 편집자는 이 새로운 도구로 더 성공적입니다. 여러분은 [[mw:Talk pages project/New topic#21 April 2022|보고서를 읽으실 수 있습니다]]. 곧 편집팀에서 테스트에 참여한 20개 위키백과의 모든 편집자에게 이 기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Special:Preferences#mw-prefsection-editing-discussion]]에서 끌 수 있습니다.<section end="message"/>
[[User:Whatamidoing (WMF)|Whatamidoing (WMF)]] 2022년 5월 3일 (화) 03:55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Global_message_delivery/Targets/VisualEditor/Newsletter/Wikis_with_VE&oldid=22019984의 목록을 사용해 User:Quiddity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2022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 - 자원 봉사자 모집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Election Volunteers/2022/Call for Election Volunteers|이 메시지는 메타 위키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된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Election Volunteers/2022/Call for Election Volunteers|{{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Election Volunteers/2022/Call for Election Volunteers}}&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운동 전략 및 거버넌스 팀은 다가오는 이사회 선거에서 선거 자원 봉사자로 봉사할 커뮤니티 구성원을 찾고 있습니다.
선거 자원 봉사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는 2021년 위키미디어 이사회 선거에서 나왔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성공적이었습니다. 선거 자원 봉사자의 도움으로 우리는 2017년에 비해 1,753명의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하고 홍보 활동을 늘릴 수 있었습니다. 전체 투표율은 10.13%, 지난 선거에 비해 1.1% 증가하였고, 214개의 위키가 선거에 참여했습니다.
하지만 74개의 2017년에 참여하지 않은 위키는 2021년 선거에서 투표를 행사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참여율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까?
선거 자원 봉사자는 다음 분야에서 도움을 줄 것입니다.
* 커뮤니티 채널에서 짧은 메시지를 번역하고 진행중인 선거 과정을 알립니다.
* 선택 사항: 커뮤니티 댓글 및 질문에 대한 커뮤니티 채널 모니터링
자원 봉사자는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 대화 및 행사 시 우호적인 분위기 정책 유지
* 중립적인 방식으로 커뮤니티에 가이드라인 및 투표 정보 제공
선거 자원 봉사자가 되고 커뮤니티가 투표에서 대표되도록 하시겠습니까? 업데이트를 받으려면 [[m: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Election Volunteers/About|여기]]에서 등록하세요. 번역에 대한 질문은 [[m:Special:MyLanguage/Talk:Movement Strategy and Governance/Election Volunteers/About|토론 페이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br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사용자:MediaWiki message delivery|MediaWiki message delivery]] ([[사용자토론:MediaWiki message delivery|토론]]) 2022년 5월 6일 (금) 14:15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 보편적 행동 강령 (UCOC) 시행 지침 수정을 위해 토론에 참여해주세요 ==
<section begin="announcement-content" />
:''<div class="plainlinks">[[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Enforcement guidelines/Revision discussions/Announcement|{{int:interlanguage-link-mul}}]]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Special:Translate&group=page-{{urlencode:Universal Code of Conduct/Enforcement guidelines/Revision discussions/Announcement}}&language=&action=page&filter= {{int:please-translate}}]</div>''
모두들 안녕하세요,
보편적 행동 강령의 시행 지침의 현 상황에 대해서 업데이트를 하고자 합니다. 3월에 진행된 공동체 비준 투표가 종료된뒤, [[m:Special:MyLanguage/Wikimedia Foundation Community Affairs Committee|커뮤니티 업무 위원회(CAC)]]는 이사회가 최종 검토를 수행하기 전에 [https://lists.wikimedia.org/hyperkitty/list/wikimedia-l@lists.wikimedia.org/thread/JAYQN3NYKCHQHONMUONYTI6WRKZFQNSC/는 개선을 위해 가이드라인의 여러 영역을 검토할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이 영역은 커뮤니티 토론과 투표 중에 제공된 의견을 기반으로 식별되었습니다. CAC는 또한 UCoC 자체의 3.1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메모에 대한 검토를 요청했습니다.
생산적인 댓글을 남겨주신 분들을 포함해 투표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보편적 행동 강령(UCoC) 프로젝트 팀은 보편적 행동 강령 시행 지침에 대한 비준 투표에서 수집한 의견에 대한 분석을 완료했습니다. 보고서는 개정 초안 위원회로 보내져 최근 종료된 투표에서 받은 커뮤니티 피드백을 기반으로 시행 지침을 개선할 것입니다. 보고서의 공개 버전은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Enforcement guidelines/Voting/Report|'''메타 위키에 공개''']]됩니다. 보고서는 메타위키에서 번역된 버전으로 제공됩니다.
이전의 두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Drafting committee|UCoC 초안 위원회]] 회원은 지침 개선을 위해 시간을 할애하고자 합니다. [[m: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Drafting committee#Revisions_Committee|여기]] 및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Drafting_committee/Phase_2_meeting_summaries#2022|2022년 주간 회의 요약]]과 그들의 작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언들은 투표 및 기타 대화와 함께 많은 귀중한 의견을 제공했습니다. 위키미디어 커뮤니티의 규모와 다양성을 감안할 때 시행 지침을 개선하고 프로세스에 더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목소리가 훨씬 더 많습니다. 개정 위원회가 개선 사항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위원회 검토를 위한 몇 가지 질문에 대한 의견이 요청됩니다. 메타 위키 페이지([[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Enforcement_guidelines/Revision_discussions|시행 지침 개정 토론]], [[m:Special:MyLanguage/Universal_Code_of_Conduct/Policy text/Revision_discussions|정책 텍스트 개정 토론]])를 방문하여 위원회에 아이디어를 제출하십시오. 위원회는 수정안의 초안을 작성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UCoC 프로젝트 팀을 대표하여, <br /><section end="announcement-content" />--[[사:YKo (WMF)|YKo (WMF)]] ([[사토:YKo (WMF)|토론]]) 2022년 5월 27일 (금) 15:08 (KST)
<!-- 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User:YKo_(WMF)/kovp&oldid=23104538의 목록을 사용해 User:YKo (WMF)@metawiki님이 보낸 메시지 -->
a9clzc0p7o1lk8vxe0y82magkdey5yr
오징어 게임의 심리학
0
4706
34783
2022-07-27T06:12:44Z
Motoko C. K.
338
새 문서: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wikitext
text/x-wiki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6stbzwzr5h6i4cgoqt6nanxlcxgx8kv
34784
34783
2022-07-27T06:17:08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여키스-도슨 법칙
6u6oiqo8ibds5on60c44y9gwjbxdi17
34785
34784
2022-07-27T06:21:16Z
Shinelizabeth78
3716
wikitext
text/x-wiki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여키스-도슨 법칙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한국이 1등을 추구하는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이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 심한 경쟁을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에는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고나서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이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서 사람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을 폭력을 하거나 죽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1등을 이기기 위해 성기훈과 조상우 이 남은 두 참가자이며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죽었고 성기훈이 이겼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보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도 받지만 정신건강이 심해진다. 우울과 불안해지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한 경우도 있다. 전나라에서 한국인들이 자살하는 확률이 많다.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 이에요.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 입니다. 9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쇼 입니다.
fbi19sf8leukgwefgz5zpkfsbcgthx5
34786
34785
2022-07-27T06:23:47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한국이 1등을 추구하는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이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 심한 경쟁을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에는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고나서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이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서 사람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을 폭력을 하거나 죽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1등을 이기기 위해 성기훈과 조상우 이 남은 두 참가자이며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죽었고 성기훈이 이겼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보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도 받지만 정신건강이 심해진다. 우울과 불안해지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한 경우도 있다. 전나라에서 한국인들이 자살하는 확률이 많다.
.
kd22nx6bg0amoicu7bofr86tatlxbsm
34787
34786
2022-07-27T06:25:20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한국이 1등을 추구하는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이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 심한 경쟁을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에는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고나서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이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서 사람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을 폭력을 하거나 죽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1등을 이기기 위해 성기훈과 조상우 이 남은 두 참가자이며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죽었고 성기훈이 이겼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보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도 받지만 정신건강이 심해진다. 우울과 불안해지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한 경우도 있다. 전나라에서 한국인들이 자살하는 확률이 많다.
.
mdphe1rn8di8uj86iwxxj4vlx6pholu
34788
34787
2022-07-27T06:26:02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한국이 1등을 추구하는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이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 심한 경쟁을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에는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고나서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이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서 사람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을 폭력을 하거나 죽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1등을 이기기 위해 성기훈과 조상우 이 남은 두 참가자이며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죽었고 성기훈이 이겼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보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도 받지만 정신건강이 심해진다. 우울과 불안해지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한 경우도 있다. 전나라에서 한국인들이 자살하는 확률이 많다.
.
cah98xva5284wh7fqn6c4ue3wfpulf5
34789
34788
2022-07-27T06:32:04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한국이 1등을 추구하는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이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 심한 경쟁을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에는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고나서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이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서 사람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을 폭력을 하거나 죽기를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1등을 이기기 위해 성기훈과 조상우 이 남은 두 참가자이며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죽었고 성기훈이 이겼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보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도 받지만 정신건강이 심해진다. 우울과 불안해지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한 경우도 있다. 전나라에서 한국인들이 자살하는 확률이 많다.
aptxk6iy74ebu1y4l9twxl852418f2y
34790
34789
2022-07-27T06:41:37Z
DanKim236
3713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1등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은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마지막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서의 경쟁 사회를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의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면 참가자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폭력을 가하며 죽어나가는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는 성기훈과 조상우, 마지막으로 남은 두 참가자 중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사망하였고 성기훈이 오징어 게임에서 우승하였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건강이 악화된다. 우울과 불안 등의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하는 경우까지 있다.
l7rpt05eckljzl5yic30k9fepjvwadw
34791
34790
2022-07-27T06:54:42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1등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은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마지막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서의 경쟁 사회를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의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면 참가자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폭력을 가하며 죽어나가는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는 성기훈과 조상우, 마지막으로 남은 두 참가자 중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사망하였고 성기훈이 오징어 게임에서 우승하였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건강이 악화된다. 우울과 불안 등의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하는 경우까지 있다.
; 대한민국의 자살
2014년 전체 사망자 수 26만7692명 중에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836명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7.3명으로 전년대비 1.3명 (-4.5%) 감소했다. 자살 사망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3.6명 (15%) 늘어났다. 2000년대 후반 들어 자살률이 연속으로 증가했으며, 2011년의 자살률은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수치였다. 그리고 2012년과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조금 줄어들었다가 2013년과 2018년부터 계속 늘어났다. - 한국어 위키백과, [[w:대한민국의 자살]]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graph>
{
"version": 2, "width": 400, "height": 100,
"padding": {"top": 10, "left": 30, "bottom": 30, "right": 10},
"data": [
{
"name": "table",
"values": [
{"t": "2020", "v": 25.7}, {"t": "2019", "v": 26.9},
{"t": "2018", "v": 26.6}, {"t": "2017", "v": 24.3},
]
}
],
"scales": [
{
"name": "x",
"range": "width",
"domain": {"data": "table", "field": "v"}
},
{
"name": "y",
"range": "height",
"type": "ordinal",
"domain": {"data": "table", "field": "t"}
}
],
"axes": [
{"type": "x", "scale": "x"},
{"type": "y", "scale": "y"}
],
"marks": [
{
"type": "rect",
"from": {"data": "table"},
"properties": {
"enter": {
"y": {"scale": "y", "field": "t"},
"height": {"scale": "y", "band": true, "offset": -1},
"x": {"scale": "x", "value": 0},
"x2": {"scale": "x", "field": "v"}
},
"update": {
"fill": {"value": "steelblue"}
},
"hover": {
"fill": {"value": "red"}
}
}
}
]
}
</graph>
8hkgdhxf0miqu7yanawho3mqlh7wcbz
34792
34791
2022-07-27T07:06:59Z
Motoko C. K.
338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1등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은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마지막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서의 경쟁 사회를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의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면 참가자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폭력을 가하며 죽어나가는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는 성기훈과 조상우, 마지막으로 남은 두 참가자 중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사망하였고 성기훈이 오징어 게임에서 우승하였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건강이 악화된다. 우울과 불안 등의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하는 경우까지 있다.
; 대한민국의 자살
2014년 전체 사망자 수 26만7692명 중에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836명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7.3명으로 전년대비 1.3명 (-4.5%) 감소했다. 자살 사망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3.6명 (15%) 늘어났다. 2000년대 후반 들어 자살률이 연속으로 증가했으며, 2011년의 자살률은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수치였다. 그리고 2012년과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조금 줄어들었다가 2013년과 2018년부터 계속 늘어났다. - 한국어 위키백과, [[w:대한민국의 자살]]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graph>
{
"version": 2, "width": 400, "height": 300,
"padding": {"top": 10, "left": 30, "bottom": 30, "right": 10},
"data": [
{
"name": "table",
"values": [
{"t": "2020", "v": 25.7}, {"t": "2019", "v": 26.9},
{"t": "2018", "v": 26.6}, {"t": "2017", "v": 24.3},
{"t": "2016", "v": 25.6}, {"t": "2015", "v": 26.5},
{"t": "2014", "v": 27.3}, {"t": "2013", "v": 28.5},
{"t": "2012", "v": 28.1}, {"t": "2011", "v": 31.7},
{"t": "2010", "v": 31.2}, {"t": "2009", "v": 31.0},
{"t": "2008", "v": 26.0}, {"t": "2007", "v": 24.8},
{"t": "2006", "v": 21.8}, {"t": "2005", "v": 24.7},
{"t": "2004", "v": 23.7}, {"t": "2003", "v": 22.6},
{"t": "2002", "v": 17.9}, {"t": "2001", "v": 14.1},
]
}
],
"scales": [
{
"name": "x",
"range": "width",
"domain": {"data": "table", "field": "v"}
},
{
"name": "y",
"range": "height",
"type": "ordinal",
"domain": {"data": "table", "field": "t"}
}
],
"axes": [
{"type": "x", "scale": "x"},
{"type": "y", "scale": "y"}
],
"marks": [
{
"type": "rect",
"from": {"data": "table"},
"properties": {
"enter": {
"y": {"scale": "y", "field": "t"},
"height": {"scale": "y", "band": true, "offset": -1},
"x": {"scale": "x", "value": 0},
"x2": {"scale": "x", "field": "v"}
},
"update": {
"fill": {"value": "steelblue"}
},
"hover": {
"fill": {"value": "red"}
}
}
}
]
}
</graph>
sigu0jworyl2v6nhwzjxj9hz40oomf9
34793
34792
2022-07-27T07:07:29Z
Motoko C. K.
338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1등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은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마지막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서의 경쟁 사회를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의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면 참가자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폭력을 가하며 죽어나가는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는 성기훈과 조상우, 마지막으로 남은 두 참가자 중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사망하였고 성기훈이 오징어 게임에서 우승하였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건강이 악화된다. 우울과 불안 등의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하는 경우까지 있다.
; 대한민국의 자살
2014년 전체 사망자 수 26만7692명 중에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836명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7.3명으로 전년대비 1.3명 (-4.5%) 감소했다. 자살 사망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3.6명 (15%) 늘어났다. 2000년대 후반 들어 자살률이 연속으로 증가했으며, 2011년의 자살률은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수치였다. 그리고 2012년과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조금 줄어들었다가 2013년과 2018년부터 계속 늘어났다. - 한국어 위키백과, [[w:대한민국의 자살|대한민국의 자살]]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graph>
{
"version": 2, "width": 400, "height": 300,
"padding": {"top": 10, "left": 30, "bottom": 30, "right": 10},
"data": [
{
"name": "table",
"values": [
{"t": "2020", "v": 25.7}, {"t": "2019", "v": 26.9},
{"t": "2018", "v": 26.6}, {"t": "2017", "v": 24.3},
{"t": "2016", "v": 25.6}, {"t": "2015", "v": 26.5},
{"t": "2014", "v": 27.3}, {"t": "2013", "v": 28.5},
{"t": "2012", "v": 28.1}, {"t": "2011", "v": 31.7},
{"t": "2010", "v": 31.2}, {"t": "2009", "v": 31.0},
{"t": "2008", "v": 26.0}, {"t": "2007", "v": 24.8},
{"t": "2006", "v": 21.8}, {"t": "2005", "v": 24.7},
{"t": "2004", "v": 23.7}, {"t": "2003", "v": 22.6},
{"t": "2002", "v": 17.9}, {"t": "2001", "v": 14.1},
]
}
],
"scales": [
{
"name": "x",
"range": "width",
"domain": {"data": "table", "field": "v"}
},
{
"name": "y",
"range": "height",
"type": "ordinal",
"domain": {"data": "table", "field": "t"}
}
],
"axes": [
{"type": "x", "scale": "x"},
{"type": "y", "scale": "y"}
],
"marks": [
{
"type": "rect",
"from": {"data": "table"},
"properties": {
"enter": {
"y": {"scale": "y", "field": "t"},
"height": {"scale": "y", "band": true, "offset": -1},
"x": {"scale": "x", "value": 0},
"x2": {"scale": "x", "field": "v"}
},
"update": {
"fill": {"value": "steelblue"}
},
"hover": {
"fill": {"value": "red"}
}
}
}
]
}
</graph>
fn3373fueeczidcghagp3leenl5m4dh
34794
34793
2022-07-27T07:11:15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1등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은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마지막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서의 경쟁 사회를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의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면 참가자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폭력을 가하며 죽어나가는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는 성기훈과 조상우, 마지막으로 남은 두 참가자 중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사망하였고 성기훈이 오징어 게임에서 우승하였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건강이 악화된다. 우울과 불안 등의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하는 경우까지 있다.
; 대한민국의 자살
2014년 전체 사망자 수 26만7692명 중에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836명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7.3명으로 전년대비 1.3명 (-4.5%) 감소했다. 자살 사망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3.6명 (15%) 늘어났다. 2000년대 후반 들어 자살률이 연속으로 증가했으며, 2011년의 자살률은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수치였다. 그리고 2012년과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조금 줄어들었다가 2013년과 2018년부터 계속 늘어났다. - 한국어 위키백과, [[w:대한민국의 자살|대한민국의 자살]]
{|
|-
|
<graph>
{
"version": 2, "width": 400, "height": 300,
"padding": {"top": 10, "left": 30, "bottom": 30, "right": 10},
"data": [
{
"name": "table",
"values": [
{"t": "2020", "v": 25.7}, {"t": "2019", "v": 26.9},
{"t": "2018", "v": 26.6}, {"t": "2017", "v": 24.3},
{"t": "2016", "v": 25.6}, {"t": "2015", "v": 26.5},
{"t": "2014", "v": 27.3}, {"t": "2013", "v": 28.5},
{"t": "2012", "v": 28.1}, {"t": "2011", "v": 31.7},
{"t": "2010", "v": 31.2}, {"t": "2009", "v": 31.0},
{"t": "2008", "v": 26.0}, {"t": "2007", "v": 24.8},
{"t": "2006", "v": 21.8}, {"t": "2005", "v": 24.7},
{"t": "2004", "v": 23.7}, {"t": "2003", "v": 22.6},
{"t": "2002", "v": 17.9}, {"t": "2001", "v": 14.1},
]
}
],
"scales": [
{
"name": "x",
"range": "width",
"domain": {"data": "table", "field": "v"}
},
{
"name": "y",
"range": "height",
"type": "ordinal",
"domain": {"data": "table", "field": "t"}
}
],
"axes": [
{"type": "x", "scale": "x"},
{"type": "y", "scale": "y"}
],
"marks": [
{
"type": "rect",
"from": {"data": "table"},
"properties": {
"enter": {
"y": {"scale": "y", "field": "t"},
"height": {"scale": "y", "band": true, "offset": -1},
"x": {"scale": "x", "value": 0},
"x2": {"scale": "x", "field": "v"}
},
"update": {
"fill": {"value": "steelblue"}
},
"hover": {
"fill": {"value": "red"}
}
}
}
]
}
</graph>
|-
|<center>대한민국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center>
|-
|
|}
gxczqe5scmtos822uos3q5xbfdeemzc
34795
34794
2022-07-27T07:13:45Z
Motoko C. K.
338
wikitext
text/x-wiki
[[File:Squid Game logo (Korean).png|300px|right]]
== 개요 ==
오징어 게임은 어려울 때 얼마나 멀리 갈 것인가에 대한 드라마이다.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극한의 게임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은 넷플릭스 드라마이다. 9개 에피소드에 사람들이 생존하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갈지에 대한 어두운 드라마이다.
== 심리학적 분석 ==
=== 여키스-도슨 법칙 ===
드라마 오징어게임은 엘리트주의과 평등주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드라마 내 오징어 게임 진행자가 게임 참가자들을 통제하는 것을 통해 드라마에서는 상위계층에 의해 사회가 이끌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해,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자들의 안전과 건강 대신 고위층 본인들의 이익에 초점이 맞춰진다.
오징어 게임은 정신인 압박과 성과 수행의 상관관계 등 심리적인 측면에 대한 모습 또한 보여준다. 여키스-도슨 법칙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 수행 능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 관계이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상황에서 게임 참여자들이 극도로 집중하고 동기부여되며 다양한 게임들을 통해 발현된다.
;여키스-도슨 법칙이란?
[[파일:OriginalYerkesDodson.svg|500픽셀]]
1908년 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Robert M. Yerkes)와 존 도슨(John Dillingham Dodson)이 처음 개발한 압력과 성과 간의 경험적 관계이다. 이 법칙은 생리적 또는 정신적 각성에 따라 수행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정도까지만 증가한다고 규정한다. 각성의 수준이 너무 높아지면 성능이 저하된다는것을 보여준다. - 한국어 위키백과, [[w:여키스-도슨 법칙|여키스-도슨 법칙]]
=== 대한민국의 높은 자살률 ===
오징어게임은 한국 사회를 보여주며 1등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를 상징한다. 게임은 456명으로 시작하지만 마지막 1명만 456억을 이길수 있으면서 한국에서의 경쟁 사회를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의 첫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 많은 참가자들이 죽고나서 경쟁은 더욱 심해진다. 특히, 밤이 되면 참가자들이 살아남으려고 팀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폭력을 가하며 죽어나가는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는 성기훈과 조상우, 마지막으로 남은 두 참가자 중 조상우가 자살하는 선택으로 사망하였고 성기훈이 오징어 게임에서 우승하였다. 한국은 주로 경쟁에서 1등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인정을 받고 싶으면 1등을 받아야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1등을 항상 할 수는 없는 것이며 경쟁이 심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건강이 악화된다. 우울과 불안 등의 상황이 많아지면서 제일 심한 선택은 자살하는 경우까지 있다.
; 대한민국의 자살
{|
|-
|
<graph>
{
"version": 2, "width": 400, "height": 300,
"padding": {"top": 10, "left": 30, "bottom": 30, "right": 10},
"data": [
{
"name": "table",
"values": [
{"t": "2020", "v": 25.7}, {"t": "2019", "v": 26.9},
{"t": "2018", "v": 26.6}, {"t": "2017", "v": 24.3},
{"t": "2016", "v": 25.6}, {"t": "2015", "v": 26.5},
{"t": "2014", "v": 27.3}, {"t": "2013", "v": 28.5},
{"t": "2012", "v": 28.1}, {"t": "2011", "v": 31.7},
{"t": "2010", "v": 31.2}, {"t": "2009", "v": 31.0},
{"t": "2008", "v": 26.0}, {"t": "2007", "v": 24.8},
{"t": "2006", "v": 21.8}, {"t": "2005", "v": 24.7},
{"t": "2004", "v": 23.7}, {"t": "2003", "v": 22.6},
{"t": "2002", "v": 17.9}, {"t": "2001", "v": 14.1},
]
}
],
"scales": [
{
"name": "x",
"range": "width",
"domain": {"data": "table", "field": "v"}
},
{
"name": "y",
"range": "height",
"type": "ordinal",
"domain": {"data": "table", "field": "t"}
}
],
"axes": [
{"type": "x", "scale": "x"},
{"type": "y", "scale": "y"}
],
"marks": [
{
"type": "rect",
"from": {"data": "table"},
"properties": {
"enter": {
"y": {"scale": "y", "field": "t"},
"height": {"scale": "y", "band": true, "offset": -1},
"x": {"scale": "x", "value": 0},
"x2": {"scale": "x", "field": "v"}
},
"update": {
"fill": {"value": "steelblue"}
},
"hover": {
"fill": {"value": "red"}
}
}
}
]
}
</graph>
|-
|<center>대한민국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center>
|-
|}
2014년 전체 사망자 수 26만7692명 중에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836명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7.3명으로 전년대비 1.3명 (-4.5%) 감소했다. 자살 사망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3.6명 (15%) 늘어났다. 2000년대 후반 들어 자살률이 연속으로 증가했으며, 2011년의 자살률은 2000년대 들어 가장 큰 수치였다. 그리고 2012년과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조금 줄어들었다가 2013년과 2018년부터 계속 늘어났다. - 한국어 위키백과, [[w:대한민국의 자살|대한민국의 자살]]
dbdokk0dq2le9yf9ejy1prmpy2fqlhs